ChatGPT 이미지 샘플러 (4) - 회화 스타일
챗 GPT의 이미지 스타일을 나열해서 나중에 챙겨 보려고 만든 페이지야.
기본 가이드는 이전 글(링크)을 살펴보고, 이 페이지에서는 회화 스타일을 나열할게.
상업적인 영향이 적다 보니 저작권 제약도 덜한 편이지만, 특정 작가들은 저작권을 엄격하게 따르고 있어서 스타일 적용이 안되기도 해. 무엇보다 생각보다 작가의 스타일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진 않은 것 같아. 그 대신, 배경이나 소품이 바뀌는 걸 보면 나름 재밌기도 해.
작가 이름은 의외로 많이 반려돼. 그리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편. 차라리 '화풍'으로 접근하는 게 좋아.
여기엔 오염이 제법 많아. 이전에 카툰 스타일을 하던 게 있어서, 팝아트의 경우는 카툰 스타일에 덧입혀진 것 같아. 뭐 잘 쓰면 테크닉으로 발전시킬 수도 있겠지만.
모자이크 - 유리 스테인드글라스 - 퀼트는 연속으로 생성해서 에러가 있는 것 같은데, 앞의 두 개는 몇 번을 해도 비슷하게 나오더라구. 퀼트는 이전의 작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고. 느꼈겠지만, 스타일에 따라서 전형적인 포즈와 시선도 바뀌는 것 같아.
작가 하나하나를 나열하는 건 의미없기는 한데... 세상에는 너무 많은 작가가 있기 때문이고, 체감상 절반 이상의 작가들이 저작권 등의 이슈로 막혀 있어. 하나하나 확인해보는 수밖에 없지. 이게 또 개운치 않은 게, 그때그때 되었다 안되었다 하는 작가들도 있어서, 딱 "안된다"는 작가를 지정할 수도 없어.
몬드리안이나 잭슨 폴록은 적당한 타협을 하네. 둘 다 인물의 형체를 만들지 못하는 화풍인데 말이지. 재밌어.
조사한 만큼 업데이트할 거고, 다음의 여섯 카테고리로 나눴으니, 필요한 게 있으면 아래 링크를 활용해.
o. 개요 - 전반적인 정보 (링크)
a. 3D 스타일 (링크)
b. 사진 스타일 (링크)
c. 회화, 사조 (링크)
d. 게임 또는 개성있는 작가 (링크)
e. 2D 만화류 (링크)
f. 재밌는 효과, 기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