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는 업무 과정을 분할하여 각 시기에 맞는 업무의 방향을 제시하는 유용한 방법론인데, 이는 비단 UX 디자인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 전반에 걸쳐 적용될 만한 일반론에 가까워.
Discover
일단 일을 맡으면 천천히 탐색의 범위를 넓히며 고민하지. 이 일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일에서 핵심인 부분은 어디이고, 영향을 받는 곳은 어디일까. 소외되어 보이지만 챙겨야 하는 일은 무엇일까. 놓친 곳은 없는가. 도대체 이건 왜 존재해야 하는 문제인가.
Define
그리고 이 논의를 더 펼쳐서 주름진 곳 없이 펼친 후에는 펼친 논의들을 어떻게 수렴할 것인지를 살펴 봐. 이런 방향으로 이 일을 몰고 가볼까? 이 의미의 정수는 이런 단어이니 고정해야 오해가 없겠군. 이런 특성이 생길 수 있지만 일단은 묻어둘까. 이 일의 진정한 의미는 이런 거였구나! 이제 알겠다.
Develop
조금은 자신감이 생기지. 내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여긴 이렇게 해야 해. 저건 저렇게, 그건 그렇게. 처음 펼쳐 둔 곳을 구석구석 밟아가며 내 이해와 원칙을 적용해 보는 거지. 나름의 변화가 느껴지고, 그만큼 미지의 것들도 눈에 띄게 돼. 무가치했던 곳에서 꽃이 피어나기도 하고, 우연들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내가 정리한 방향이고 내 관점의 실체적 재현이라고 느껴지면 마음이 뿌듯하지.
Deliver
그렇게 모든 곳을 밟아 놓고 나면, 나는 이것으로, 비로소, 세상과 마주하게 돼. 이제 유저도 받고, 테스트도 하며 실전 속에서 내가 맞았는지 틀린 지를 검증하면서 내가 걸어온 지점들을 둘러보며 단단히 다지는 일. 지난한 작업이고 변수도 많지만 어쨌든 세계에 영향을 끼치는 보람.
사실, 나는 이 과정을 몇 백번, 세는 방법에 따라서는 몇 천 번도 거쳐 왔어. 일에서든 삶에서든.
크게 보면 나는, 라이프 사이클의 Deliver 초입에 도착한 게 아닐까. 사춘기 시절까지, 길게 보면 군 시절 직후까지 나는 Discover 했고 방황했고 인생에 대해서 고민해 왔지. 나는 누구인가 왜 태어났나. 직업을 찾아보면서는 내가 스스로 만들어 둔 정체성을 사회에 적용해 보면서 스스로를 Define 하려 노력했어. 이건 내가 해야 하는 일인가. 이 활동은 나와 사회에 어떤 의미를 주고 있는가. 이 일을 시작하면서부터는 내 삶의 철학과 내 디자이너로서의 철학을 녹여서 나름의 여러 이야기들을 Develop 했고, 이제는 이 과정들을 돌아보며 삶의 외부에 여러 흔적을 남기며 대를 잇는 거지. 일에서든 삶에서든.
사실은 실패에 가까워. 사춘기나 청년기에 끝냈어야 할 Discover를 여전히 하고 있고, 불혹의 나이를 지나면서도 삶을 Define 하지 못했거든. 여러 가지 이유로 내 자산을 Develop 하지도 못한 상태로 성긴 Deliver를 하느라 시간을 보내고 있지.
하지만 잘게 볼 수록 더블 다이아몬드는 무한한 중첩 구조라는 걸 알게 되었어. 마치 프랙탈 도형처럼 - 한 곳의 discover가 이루어질 때, 삶의 어딘가에서는 deliver도 일어나고 define도 생겨. 계속 희망 속에서 수렴이 일어나고 절망 안에서 새로운 대안을 찾지.
삶은, 굳이 UX 용어로써가 아니더라도 매우 Agile해야 해.
'LOG > OP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너희를 자유롭게 해줄 것 같은가? (*이미지) (2) | 2025.08.24 |
---|---|
"다들 그렇게 해요"의 불편함 (feat. 무한도전) (7) | 2023.10.26 |
검은 고래를 그리는 아이 : 은유로서의 디자인 업무 (0) | 2022.12.16 |
친애하는 UX 초심자 여러분에게 (2) | 2022.10.01 |
해외 빅테크 기업의 해고 물결, 우리는?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