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time Creator

Art, Design, Essay, News

ALL POSTS 165

Plan High : 짧고 깊게 패인 교훈

여느 포트폴리오 사이트들과는 다르게 - 프로젝트의 상세한 내용보다는 그 당시에 느꼈던 감정과 소회를 적으려다 보니, 필연적으로 상처와 아쉬움을 말하게 되네. 큰일이야, 포트폴리오가 점점 더 어두워져 가고 있어. ^^; 물론 모든 프로젝트마다 나름의 즐거움이 있었지, 어떤 상황에서도 나름 얻는 게 있고, 이룬 게 있는 법이잖아. 실제로도 나는 그간 많은 성취를 이뤘고, 지난 20년 동안 4~50개의 국내외 어워드를 수상했으니, 혹자는 내가 너무 궁상맞다고 생각하기도 할 거야. 그런데... 사실, 프로젝트의 기쁨은 금세 휘발되는 것 같아. 아무리 대단한 성취라 하더라도, 또는 그 성취를 금전적으로 돌려받더라도, 아쉬운 게 더 오래 기억에 남는 거 - 이 직업이 그런 숙명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나만 ..

IMG 2020.12.23

ZEN of UX. 02 - “이게 더 예쁘군요”라는 디자인 피드백에 대한 옹호

이전에 RightBrain에 있을 때 쓴 글인데, 반가와서 여기에 옮겨. 약간만 고쳤어. 아마 2018년 글일 거야. 디자이너들은 항상 다양한 피드백을 마주하게 됩니다. 디자인은 사용자의 다양한 관점 – 경제성, 기능성, 심리성 등 – 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심도 깊은 대화와 피드백이 발생할 수 밖에 없죠. 하지만, 숱한 피드백 중 꽤나 성가신 유형의 피드백이 있습니다. 바로 “이게 더 예쁘네요” 피드백이죠. 발화자가 디자이너라면 그나마 좀 낫습니다. 서로 심미적인 속성을 이야기해도 되는 사이니까요. 하지만, 실제로 “예쁘네요” 피드백은 기획자로부터, 클라이언트로부터, 개발자로부터, 마케터로부터 더 많이 듣습니다. 뭐, 어느 정도는 자존심의 문제라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

ZEN of UX 2020.12.11

Wicked : 첫 폰트의 추억

dafont에 기록되어 있기로는 2014년 6월에 업로드한 걸로 나오니까, 아마 2014년 초반에 만들었나 봐. 내 첫 폰트인 Wicked를 소개할까 해. 지금도 폰트에 대한 지식이 일천하긴 하지만, 당시는 정말 아무것도 모르던 시절이었어. 폰트랩(Fontlab)이라는 프로그램으로 폰트를 만든다더라~ 하는 소문만 듣고, 맨 땅에 헤딩하듯 이것저것 만져보던 시절이었지. 다행히 이런저런 그래픽 툴을 써 본 짬이 있기에 적응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폰트 자체에 대한 감각이 없으니까 테크닉은 크게 중요하지 않더라구. 나는 항상 '나음보다 다름'이라, 특이한 걸 만들어 보고 싶었어. 그래서 어떻게 폰트에 개성을 줄까 하다가, 대문자와 소문자가 서로 다른 스타일인 폰트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싶었어. 디자..

IMG 2020.12.11

라미 다이얼로그 3 (Lamy Dialog 3) 리뷰

블랙 프라이데이라 펜을 하나 질렀어. 라미 다이얼로그 3. 직구를 할 땐 보통 200불 안쪽으로 하는 편이야. 혹시나 과세 관련으로 문제가 생길까 싶기도 하고, 관세가 붙지 않더라도 배송 기간이 길어지게 마련이라서, 엄청나게 갖고 싶은 물건이 아니고서는 200불 이상으로 구매하지 않아. (사실 내가 직구하는 물건들은 관세로부터 자유로운 편이야. 저가의 전자제품이나 컴퓨터 액세서리, 사무용품류, 책 등은 사치품으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관세 없이 부가가치세만 조금 적용되는 편이야. 책 같은 경우는 부가가치세도 전혀 붙지 않아. 만년필의 경우, 200불 이상이면 관세가 20%까지도 붙는다고들 하는데, 난 그렇게 큰 비율의 관세를 내 본 경험이 없어. 하지만, 혹시 모르니까^^) 이 펜은 무려 169.99불...

LOG/SHP 2020.12.06

다문 입으로 파리가 들어온다

전갈은 어째서 독을 품고 거북은 무엇을 생각할까 그늘이 사라지는 곳은 어디일까 빗방울은 무슨 노래를 부를까 새들은 어디에서 마지막을 맞을까 나뭇잎은 어째서 초록색일까 우리가 아는 것은 한 줌도 안되고 짐작하는 것만이 산더미 같다 그토록 열심히 배우건만 우리는 단지 질문하다 사라질 뿐 - 빠블로 네루다 옛날에 메모장에 옮겨 둔 시인데, 누가 번역했는지, 문장은 맞는지 확실하지 않다. 제목은 왜 저런 제목인지, 이 시의 제목이 맞기는 한 건지도 모른다. 그래, 모른다. 질문하다 사라질 듯. * UPDATE 2021.09.15 - 전체 내용이 담긴 시를 찾았기 때문에 다시 옮김. 번역이 이전과 다르네. 제목도 '한국 제목'과 원래 제목이 다른가 봐. 우리는 질문하다가 사라진다 어디에서 도마뱀은 꼬리에 덧칠할 ..

LOG/LIB 2020.11.28

알리에서 키보드를 사고 (2)

졌어요, 졌어. 최종 판결 : 위조품이라는 혐의 유효. 전액 환불, 반품할 것 (반송비는 구매자 부담) 이게 말이 돼? 위조품이 맞지만 제품은 반송해야 하며, 비용은 산 사람이 내라고? 알리의 정책이 그래. 반송의 경우는 무조건 구매자 부담. 뭐 이건 어쩔 수 없지. 그들의 정책이 그렇다니 뭐. 그런데. 위조품인 걸 증명해 냈는데 환불이 조건부라니? 환불하면 되는 거지. 그런데. 우리나라 법이 좀 깐깐해. 배터리가 달린 물건은 일반 EMS로 보낼 수 없고 EMS Premium으로만 보낼 수 있을뿐더러, 비용도 만만치 않고 절차도 복잡하더라구. 알아본 바로는 2kg인 이 물건을 보내려면 6~7만 원 정도가 든다는군. 한 달 정도 쓴 비용으로 7만원을 내는 게 말이 되냔 말이지. (물론, 이 키보드의 품질이..

LOG/SHP 2020.11.19

알리에서 키보드를 사고 (1)

AliExpress에서 기계식 키보드를 하나 주문했다가 일주일째 고생하는 중. 집에서 글을 써볼까 해서, 로망이었던 기계식 키보드를 찾다가, 알리에서 희귀템을 우연히 찾고 주문했어. 알리답지 않게 빠른 배송. 9일 만에 물건을 받았고, 물건도 나쁘지 않아서 좋았는데... 키보드에 대해 궁금한 게 좀 있어서 본사(아이큐닉스 : 키보드 제조사)에 이것저것 묻다 보니, 내게 판매한 셀러가 본사로부터 승인받지 않은 불법 판매상임을 알게 되었고, 그때부터 일주일째 셀러와 실랑이 중이야. 알리는 오래전부터 짝퉁과 불법 유통으로 골치를 썩었던 쇼핑몰이라, 나름 분쟁 해결 정책을 디테일하게 정해두었는데, 절차는 다음과 같아 : 구매자가 환불이나 교환, 보상 등을 요청하는 걸 '분쟁 신청(Open Dispute)'이라고..

LOG/SHP 2020.11.06

코웨이 : 하룻밤의 도움. 내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중앙일보를 힘겹게 끝낸 후 컨디션을 추스르고 있었을 때야. 마냥 슬픈 시기였지. 번아웃과, 삶의 불안감이 겹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으니까. 10여 년의 경력이 아깝기는 하지만 - 새로운 일을 하는 게 정신 건강에 좋을 것 같기도 하고. 빠르면 3년, 길어야 10년 주기로 개편되는 이 분야의 특성, 즉, 물성 없이 금방 휘발되는 이 일이 과연 의미 있는 걸까 싶기도 하고.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이제껏 살아온 삶을 뒤돌아보며 상실감과 회의에 빠져 있던 때였어. 그러던 어느 날, 옆 팀이 눈에 들어왔어.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거든. 새 프로젝트를 맡은 모양인데, 갓 책임을 단 시니어 한 명과 주니어 세 명으로 구성된 디자인 TF는 이미 충분히 지쳐 보였어. 일주일 동안 새벽까지 일한 모양인데, 전혀 진도를 ..

IMG 2020.09.27

ZEN of UX. 01 - Squircle, 스쿼클?

요즘 다시 스쿼클이 주목받고 있는 것 같아. 그런데 이걸 어디서 처음 시도했는지 의견이 분분하더라고. 삼성 One UI, 카카오톡의 프로필 이미지가 이 스쿼클을 사용하고 있어서 마치 이들이 첫 시도인 것처럼 홍보하고 있지만, 내가 기억하기로 스쿼클은 Nokia N9 가이드라인이 첫 시도였다고 봐. Nokia N9 UX Guidelines n9.dy.fi 국내에선 널리 회자되지 않았지만,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 오면서 고전했던 노키아의 야심찬 도전이 N9 Guideline (이후 meego로 개명) 이었어. 폰트, 색상, 아이콘 스타일 등 정말 쟁쟁한 디자이너들을 모아 만든 걸작이었지만, 이미 노키아가 시장에서 밀린 상황이어서 그다지 넓게 확장되지는 못했어. 개인적으론 참... 더 멀리 가는 모습을 ..

ZEN of UX 2020.08.18

서정범 교수와 드레퓌스의 정의

서정범 교수님께서 돌아가신 지 벌써 10년이 되었군. 내가 어렸을 때 그는 KBS에서 작은 방송 프로그램을 맡고 있었는데, 주로 우리말의 어원과 변형을 설명해 주는 5분짜리 짧은 구성이었어. 이를테면 이런 거였지. ... 이 '설겆다'는 옛말로는 '설엊다'입니다. 여기서 '설다'는 '치우다, 정리하다'의 뜻이 있습니다. 한자로는 '수습'의 의미가 있죠. 즉, '설엊-'은 '설-' + '엊-'의 조합이며, '엊-'은 '겆다'의 의미로 기역이 탈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겆다' 역시 '수습하다, 정리하다'의 뜻이 있습니다. ... 교수님 특유의 가볍게 새는 목소리가 아직도 기억나. ^^ 5분짜리 프로그램이라서 챙겨 보려면 나름 신경 써야 했을 텐데, 어린아이가 꼬박꼬박 챙겨본 걸 보면 되게 맘에 들었었나 봐...

LOG/OPN 2020.08.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