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time Creator

Art, Design, Essay, News

ALL POSTS 165

ZEN of UX. 30 - 선별된 리스트, 모두보기 버튼은 꼭 필요한가.

오늘은 간단히 요 얘기 좀 해볼까 해. 말하고 싶은 건 (1)과 (2)의 차이 + 어떤 것이 좋은가 인데,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1)이나 (2)를 반드시 써야 하는가 - 를 짚고 넘어가고 싶어. * 나는 이 글에서 (1), (2)처럼 "리스트의 일부를 발췌해서 작게 묶은 덩어리"를, 선별된 리스트라고 칭할 예정이야. 우리가 사용하고 만드는 많은 앱들은 대부분 이런 UI를 갖고 있는데, 여러 리스트의 요약본을 한 화면에서 보여주려는 시도는 서비스의 아이템 분류가 많을 때 빈번하게 발생하고, 분류 단위가 많고 복잡할수록 이런 페이지는 더 많이 생기게 돼. 하지만, 나는 이런 화면이 많아지는 이유가 유저를 위한 게 아니라 유지/관리하는 사람의 편의를 위해 생기는 거라고 봐. 이런 화면이 많아지는 현상은..

ZEN of UX 2025.02.13

Lamy 2000 : 1년 사용기

만년필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반드시 사게 되는 몇 개의 만년필이 있어.라미 사파리, 파이롯트의 카쿠노나 캡리스, 트위스비 에코 등등이 그런 대표적인 '입문기'라고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약간 더 만년필에 빠지게 되는 모델 중에 대표적인 게 라미2000 (이쪽 바닥에선 라미케라고 부름. 라미2K라는 뜻) 이야. 개인적으로는 이런 형식의 디자인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사지 않고 있었는데, 재작년 말에 일마존 블프에서 10만 원 중반대에 나와서 걍 질렀어. 라미케의 외형은 전형적인 바우하우스적 디자인이라서, 전통적인 디자인을 선호하는 내게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거든. 아무리 디자인 어워드에서 상을 탔다지만, 여전히 '예쁘다'고 생각되진 않아. 하지만, 사람들이 좋아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는 법. 1년 동안 사용..

LOG/SHP 2025.02.07

아이콘 디자이너 : ICONWERK

개인적으로 추앙하는 디자이너 Stefan Dziallas를 소개할까 해.( https://www.iconwerk.com/ ) 아이콘 디자이너라는 직종으로 내가 아는 유일한 사람이기도 하지만, 이 분만큼 아이콘을 깊이 이해하고 탐구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는 것 같아. 개인적으론 10년 넘게 — 아이콘을 디자인할 때마다 항상 참조하고 있고, 팀원에게도 항상 추천하는 몇 안되는 디자이너 중 한 명이야.우리나라에서는 유명하지 않지만 외국에선 아이콘 방면에서 매우 유명한 것 같고, 구글이나 에어비앤비,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양한 회사들의 아이콘을 주도했어.내가 iconwerk의 작업을 추앙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아. 1. 내적인 응집성브랜딩으로서 아이콘을 다룰 때 처음으로 생각해야 하는 게 내적인 규칙, 규칙에 따른..

IMG 2024.12.19

ZEN of UX. 29 - 폰트 임베드의 장단점과 유의사항

최근 SNS 상에서 가벼운 실랑이가 있었어.한 UX 디자이너가 항간의 ‘밈’을 따라하며 - ‘UX디자이너입니다. 애플산돌고딕 쓰지 마세요’라고 글을 SNS에 올렸길래 깜짝 놀라 장문의 댓글을 달았지. 여러 번의 대화 끝에 상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 이 글을 올린이는, 윈도우 기반의 환경에서 애플산돌고딕을 사용할 수 없으니, 디자인할 때는 모든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토 같은) 범용 폰트를 사용하자는 얘기였더라구.의도는 알겠어. 협업하는 디자이너들 중에서는 윈도우 사용자도 있을 테니, 그들을 위해서 맥 전용 폰트를 사용하지 말자는 얘기잖아. 하지만 오직 그것만을 위해서 맥 전용 폰트를 금지하고 공용 폰트만을 쓰자? (이 경우는 어느 쪽으로든 필연적으로 폰트 임베드가 필요하겠지) 이건 꼬리가..

ZEN of UX 2024.09.04

ZEN of UX. 28 - 디자인 시스템은 반드시 필요한가.

사실 나는 디자인 시스템을 신봉하는 편이었어.디자이너라면 모름지기 디자인 시스템까지 해 봐야 진정한 디자이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는 에이전시 시절부터 (시스템 가이드가 필요 없어 보이는 경우에도) 꾸역꾸역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었었어. 덕분에 국내 유수의(?) 서비스 디자인 시스템들을 만들어 보는 행운도 누렸지. 디자인 가이드, UX 가이드, 디자인 랭귀지, GUI 가이드 등 - 이름과 범위도 다양했고, 그중 몇몇은 수년간 운영, 관리까지 해 보았는데, 개인적으로는 정말 값진 경험이었어.나뿐만 아니라, 다른 디자이너들도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생각은 비슷한 것 같아. 나는 디자이너를 채용하기도 해서 정말 많은 포트폴리오를 검토하는데, 상당히 많은 아이들이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고 운영한 경험을 강하게 ..

ZEN of UX 2024.08.07

카베코 페르케오 : 저렴이 시장의 새 강자?

포트폴리오 블로그를 표방했지만, 이젠 뭐 하나 글을 쓰려면 장편 서사가 되어서 쉽게 글을 못 올리고 있어. 몇 개 준비 중이니까 조금 기다려봐. (기다리고 있다면^^)최근에는 만년필을 안 사고 있었는데, 최근에 카베코(Kaweco : 독일 거니까 카베코가 맞지만, 카웨코라고도 불림) 페르케오를 반값으로 팔기에 충동구매를 했어. 보통은 2만 ~ 2만 5천 원에 파는 건데, 신세계에서 만 천 원에 팔더라고. 생김새도 괜찮아서 함 사 봤지. 게다가 반갑게도 M닙.만 원 짜리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정도의 겉모습이야. 원래 페르케오는 저렴이 포지션 답게 색깔 놀이를 많이 했었는데 (오른쪽 사진), 아무래도 전통의 강자인 파일로트의 카쿠노나 플래티넘의 소유성을 견제하는 의도 아니었을까. 배럴 모양은 소유성처럼 다각형..

LOG/SHP 2024.07.19

공공의 일러스트 : 이라스토야

많이들 알 텐데, 그래도 기록을 위해 : 일본의 '이라스토야(いらすとや : 일러스트 가게라는 뜻)'라는 사이트를 소개해. 미후네 타카시라는 일본 일러스트레이터의 개인 사이트인데, 거의 모든 상황의 일러스트를 찾을 수 있어. 일본에서는 정말 많이 사용되고 있고, 요즘은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이 일러스트들을 사용한 그래픽을 종종 보게 되는데, 나도 매우 급한 작업이나 사적인 사용, 사내에서 간단히 설명서 등을 만들 때 종종 사용하곤 해. 이 사이트의 최대 장점은 매우 느슨한 가격정책인데, 상업/비상업에 관계없이 하나의 산출물에 20개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 20개를 넘는 경우에도 비용이 일반 스톡 사이트에 비해 너무 저렴해. 물론, 이런 유형의 일러스트를 한 task에 스무 개씩이나 사용할 확률도 낮을..

IMG 2024.06.28

Nothing 2a : 훌륭하지만 디테일이 아쉬운.

나는 아이폰을 3부터 쭉 써 왔고, 업무용 테스트폰으로 몇 년간 Galaxy S8을 사용하고 있어. 물론 회사에서 제공하는 여러 공기계들을 테스트폰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여러 개인정보와 통신/결제 등을 연동한 UX를 분석하기엔 '남의 기계'로는 한계가 있어서, 디테일한 고민을 할 때는 항상 전용 테스트폰을 사용해. 운좋게도 갤럭시 S8이 갤럭시 시리즈 중에는 성능과 내구성이 좋아서 7년 넘게 잘 사용하고 있지만, 최신 OS까지는 업데이트가 안되는 까닭에 최신 OS가 돌아가는 개인용 테스트폰이 필요한 상황이었어. 그러던 중 무려 40만 원대의 저가형 폰이 출시됐단 말에 바로 질렀지. 은근 궁금했던 Nothing 시리즈인데다,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최상급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라니! 총 금액..

LOG/SHP 2024.03.26

듄 파트2 (2024) : 2회차 관람. 퀵 리뷰 열 가지 (노 스포)

1. 처음엔 아이맥스. 두 번째는 Super S로 관람했어. 아이맥스가 당연히 좋지. 하지만 이번 영화는 유난히 극단적인 클로즈업이 많고 화면 명암의 급작스런 전환(=눈뽕)도 잦아서, 민감한 사람들에게는 아이맥스가 좀 부담스러울 것 같아. 반면에, 이 특성이 Super S에서는 장점이었어. 화면의 다이내믹한 전환이나 디테일들을 보는 데에는 Super S가 훨씬 더 좋았거든. 특히 Super S는 디지털이라 마스킹이 필요 없다는 것도 큰 장점이더라구. 조금 더 자극적인 영화 경험을 하려면 아이맥스를, 유난히 섬세한 듄의 디테일을 보려면 Super S를 추천. 그런데 워낙 때깔이 잘 뽑혀서, 일반 극장에서 봐도 괜찮을 것 같아. 2. 1편보다 빠른 전개. 비슷하지만 다른 속성의 영화. 책을 기준으로 영화를 ..

LOG/LIB 2024.03.02

Bokcyl : 3년 만에 새 폰트를.

거의 3년 만에 폰트를 하나 만들었어. 이름은 '복실'. 목적을 갖고 만들었다기보다는 그동안의 상황에 이끌려 만들게 된 폰트야. 만든 시간은 한 달 정도. 업무 짬짬이 + 퇴근 후에 만들었으니 총시간으로 따지면 40시간 정도 쓴 것 같아. 딸아이가 아이패드로 폰트를 만들어서 보여줬는데 (링크), 이게 꽤 매력적인 거야. 마침 나는 일러스트레이터를 통한 캘리그래피를 연습 (링크) 하고 있었는데, 이게 시기적으로 맞아떨어졌어. 이 둘을 합쳐서 폰트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싶었지. 그래서 아이에게 허락을 맡고, 감시를 받으며(?) 폰트를 만들기 시작했어. 딸아이의 서체를 최대한 따르면서 만들었지만, 약간의 욕심이 붙을 수밖에. '간당'체의 매력이 '획으로부터 휘어져 나오는 굵은 세리프'인데, 매력적이긴 하지만 ..

IMG 2023.11.29
728x90
반응형